상업 인테리어는 소비자가 문을 열고 들어온 순간 전반적인 평가가 결정된다. 일반적인 카페, 식당, 미용실 등 외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도 인테리어가 신뢰감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병원 인테리어 시 첫 방문 환자의 주목을 받으면서,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인테리어 설계가 필요하다.

 

먼저, 외관은 병원의 아이덴티티를 확실히 표현하여 신뢰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적용해야 하며, 출입구는 횡단보도나 도보 흐름 등을 고려해 진입이 용이한 방향으로 정해야 한다. 병원 진입부터 대기 공간까지 동선을 자연스럽게 설계하고, 입구에서 바로 보이는 공간에는 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병원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수대는 환자들이 모두 거쳐 가는 공간인 만큼 너무 높거나 낮지 않게 설치하고, 지나치게 어두운 조명보다는 어느 정도 밝기를 확보하면서 편안한 느낌을 주는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만큼 대기 공간에는 편안한 동선 설계와 가구를 배치하고, 환자들의 시선이 닿는 곳에는 포인트 인테리어를 적용하여 공간의 감성을 살릴 수 있다.

 

또한, 프라이빗한 공간을 구성하여 보호자나 환자들이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며, 소아과 등 아동이 주로 방문하는 공간에는 플레이존 설치를 고려할 수 있다. 상담실도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공간으로 마련하는 것이 좋으며, 접수부터 대기, 진료, 처치 공간 간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병원, 식당, 카페, 사무실, 학원, 미용실, 헬스장 등 상업 인테리어 전문 인테이어베이 관계자는 병원은 단순히 진료받는 공간이라고 생각해 인테리어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환자를 배려하는 세심한 인테리어 설계는 병원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를 높여 병원의 신뢰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지나치게 화려하고 눈에 띄는 공간 구성보다는 환자를 위한 세심한 동선 구성과 공간 배치를 적용하고, 병원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명시하여 병원에 대한 신뢰감을 주는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인테리어베이는 업종별 맞춤 상업 인테리어를 위해 전문가와의 실시간 1:1 상담 시스템을 구축하고, 업종별 전문가 배치와 무료 포트폴리오 제공 등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맞춤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고객 의견을 최우선으로 하여, 업종 특성과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 매장 입지, 매장 크기, 주요 소비층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진행한다. 고객 문의 후 방문 시에는 2D, 3D 디자인을 무료로 제공하여, 인테리어 완성 후를 시뮬레이션하며 인테리어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공사 도중 발생한 사소한 문제라도 고객과 의사소통을 통해 해결하며, 인테리어 완성 후에도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과 신뢰를 쌓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베이는 높은 고객 만족도를 달성하며, 2020~2022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고객만족 브랜드 인테리어 부문 1위에 3년 연속 선정된 바 있다.

 

 

 

 

 

 

 

 

출처 : 이넷뉴스 

이동준 기자

원본링크 : https://www.en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415